카운셀링(1)
카운셀링(1)
상담관계 형성 라포(Ropport)
‣ 두 사람 사이의 자연스런 관계의 흐름 속에서 적절한 소통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것.
1) 라포의 촉진적 조건
① 무조건적 긍정적 관심 ② 공감적 이해 ③ 일치성
2) 라포의 구성요소
① 개인적 유대감 ② 즐거운 상호작용
3) 라포를 형성하는 기법 라포 형성방법은 언어적 요소(backtracking)와 비언어적 요소(Miroring
① 백트레킹(Backtracking) 상대방이 하는 말에 사용된 핵심단어와 중요한 술어를 사용
② 미러링( Mirroring ) 비언어적인 보조 맞추기로 마치 거울처럼 상대방의 행동을 따라하는 것
‣ 짧은 시간에 상대와 일치감을 느껴 라포를 형성할 수 있음.
상담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1) 상담자의 태도
① 상담자의 따뜻함과 민감성② 허용적인 태도③ 행동의 한계설정
2) 내담자의 이해와 평가
① 내담자의 현재문제 ② 상담동기
㉮ 자발적인 상담 : 상담이 자신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하고 스스로에 대한 문제인식도 강함
㉯ 비자발적인 상담 : 문제를 수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이해와 수용을 통해 상담의
③ 내담자의 환경적 특성 내담자 사정
㉮ 성장배경과 가족적 특징을 파악 ㉯ 친구, 직장동료, 직업. 지역사회 등에 대한 이해
㉰ 내담자의 전반적인 자아기능의 정도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척도
④ 정신기능
㉮ 내담자의 전반적인 행동 관찰을 토대로 내담자의 문제와 특성을 평가
㉯ 활동 수준정도, 태도, 눈맞춤의 적절성 정도, 정서적 반응 및 언어 능력 → 내담자의 의식 수준의 정도 반영 하는 것 ㉰ 혼란이나 반응정도 → 외부환경에 대한 자각의 정도
㉱ 감정 및 정서표현, 강도, 정도, 사고의 실제성, 망상가능성 등 파악 → 내담자의 지각, 지적기능, 자기인식, 통찰력과 판단력의 중요 척도
⑤ 내담자의 자원
내담자가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자원이 있다는 것을 인식. 내담자의 지식, 기술, 능력을 상담의 자원으로 활용하여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할 수 있음.
⑥ 심리검사의 활용
㉮ 심리검사는 내담자를 이해하는 대략적인 판단자료로 활용
㉯ 성격, 지능, 적성등을 파악 할 수 있으며 부분적인 이해
㉰ 심리검사를 통해 내담자의 호소문제 초기면접 내담자의 행동 관찰를 통합
㉱ 심리검사 해석을 통해 자기문제를 탐색하고 이해하는 계기
㉲ 내담자의 특성 및 문제의 정도를 파악하여 상담기법, 치료정도, 약물치료 등이 결정
상담관계형성 단계의 기술
1) 초기단계
상담자와 내담자가 만나는 순간부터 시작해서 상담의 기본적인 구조화를 함
라포형성, 내담자 문제의 이해. 상담의 목표 및 전략 수립, 상담관계 형성
① 내담자 문제의 이해② 상담 목표 합의③ 상담관계 형성
2) 중기단계
내담자 스스로 자신의 문제가 무엇인지 자각
① 상담목표 달성을 위한 상담기술
상담자가 파악한 내담자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내담자가 자신을 깊이 이해하도록 돕는 것.심층적 공감, 즉시성, 피드백주기, 자기개방, 직면, 해석 등
② 상담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
㉮ 내담자는 자신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인식을 통해 행동, 감정, 사고의 불일치와 모순을 발견 불안해지고 힘들어질 수 있음
㉯ 상담으로 인해 자신이 더 나빠지고 있다고 느낄 수도 있음
→ 자기인식이 증가하면서 오는 현상이므로 적절한 상황에서 이를 해석해 주거나 직면시킴으로써 도움을 줄 수 있음
3) 종결단계
① 상담결과의 평가
상담이 상담목표에 부합된다고 느끼는지, 효과가 있었는지에 대한 평가를 통해 상담종결에 대한 합의를 함
② 상담종결을 위한 훈습
- 상담 종결은 그 자체로 상담의 목표가 됨
- 내담자는 종결을 두고 기존의 문제가 다시 반복되기도 하고 다른 문제가 생겨 추가적 상담이 필요하기도 함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