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관(2)

 

산림경관의 이해


산림경관의 의미

① 산림경관은 산림에 국한하여 경관을 말할 때 쓰는 용어

② 산림 경관은 산림지역 전체에 걸쳐 지질, 지형, 토양, 기후, 생물상, 그리고 인간의 영향 때문에 반복되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산림생태계로 구성된 지역이며, 상호작용하는 생태계들에 의해 결정되는 크기, 형, 그리고 양식(패턴)으로 되어 있다. (미국 산림청에서의 정의)

③ 산림경관은 “보여지는” 산림뿐 아니라 그지역의 문화적, 역사적 내용도 포함된 것

※ 산림경관이란 산림과 인간의 상호관계 속에서 시각적, 문화적 가치가 복합적으로 어우러져 형성된 경치를 말함 (산림경관 기본계획)

산림경관의 종류

  • 林相은 인공성 여부, 혼효정도, 수목의 연령에 따라서 구분

‣ 인공 가미 여부 : 천연림과 인공림

‣ 수종에 따라서 : 침엽수림, 활엽수림, 침활혼효림

‣ 혼효 정도 : 단순림, 일제림, 혼효림

‣ 나이 : 동령림과 이령림, 노령림, 장령림, 유령림

‣ 개체별 : 소나무 숲, 잣나무 숲, 전나무 숲 등

산림의 구조와 해석

① 무생물적 인자 : 지형, 물, 기상인자 등

② 생물적 구성인자 : 식물의 조직과 기관. 동물적 요소 등

③ 산림의 수직적 구조 : 교목(상층), 아교목(중층), 관목(하층) 초본류 (지피층)

내용적 구조 : 역사적, 문화적, 정서적 함의(含意)는 다양한 각도에서 파악 되어야함

※ 산림경관은 ㉠ 수많은 인자로 구성되어 있고

㉡ 식물의 형상과 크기,

㉢계절적인 변화에 따라서 연출되는 모습이나

㉣드러나는 오감적 특성이 변화 무쌍하다

㉤경관에 따라서 관찰자가 갖게 되는 느낌은 다양

산림경관의 효과와 중요성

① 경관의 효과 : 경험에 의해 경관을 구성하는 인자에 상응하는 감정 즉, 아름답다 등의 느낌을 갖게 되는데 이러한 경관의 속성으로부터 얻어지는 전체적인 감정적 과정을 경관의 효과라고 함.

② 산림경관의 효과와 관련한 산림경관의 중요성㉮ 산림경관은 인간의 감정을 다스릴 수 있음㉯ 산림경관에 내재된 정신적 특성의 이해를 통해서 생명의 가치와 자아를 발견할 수 있게 힘㉰ 산림경관은 심미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음

※ 관련, 프로그램을 진행할 장소에서의 필요한 조치

㉮탐방자가 좋아하는 장소를 사전에 조사

㉯ 조망점(visualpoint)을 찾아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고 편의시설 배치

㉰ 산 정상과 계곡, 호수 등을 볼 수 있는 조망권 확보

㉱ 경관 선호도에 합당한 숲 가꾸기 진행

㉲산림경관의 정신적 가치 발굴하고 활용 할 것

㉳ 계절적, 미감적 특성 고려하여 프로그램 진행

산림경관의 감상법

감각기관에 대한 이해

시각(視覺) 87%

① 시각은 청각보다 정보를 빨리얻음

② 시각은 단순히 현상의 자극을 보는 것 그 이상의 본질을 파악하고 지각적 개념을 파악하는 역할 함

청각(聽覺) 7%

① 자연의 소리는 본원적이고 익숙한 것으로 사람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줌

② 사계절 변화를 암시해주고 심신에 생기와 활력을 불어 넣음

후각(嗅覺)

  • 후각은 시각과 청각보다 더욱 깊은 기억을 일으킬 수 있음

미각(味覺)

촉각, 시각, 미각의 완성된 향수의 경험 제공

촉각(觸覺)

직접 피부의 접촉으로 얻는 체험으로써 영상 매체의 느낌과는 다름

제6감

  • 5감작용으로 미적 대상 경관을 받아들인 후에 정서적으로 와 닿는 의식

1. 5. 2 시각구조와 영역 (P294)

  • 5감각중 미적 대상을 지각하는데 가장 영향력 있는 것은 시각이다

외부환경을 지각하고 기억하는 과정의 영향정도

(시각 87% > 청각 7% > 후각 3.5% > 촉각 1.5% > 미각 1%)

〈시각 구조의 기본지식〉

  • 인간이 서있는 자세에서의 수직방향인 자연적 시선의 중시방향은 –10˚
  • 보기 수월한 영역은 0 ~ -30˚
  • 부각은 –10˚, 폭 8.5m부근이 보기 수월,
  • 앙각은 5˚ 일 때 정상적인 관찰위치며 머리를 움직이지 않고 먼 곳의 산허리, 경관 볼 수 있음
  • 전원지대에서는 앙각 10˚ 일 때주의력이 모두 산허리와 하단에 집중되며 숲 가장자리 임연(임연)에서는 반드시 30˚ 이상앙각

경관감상법 (P 295)

  • 산림미를감상하는 4가지 측면은 순수한 생태적(생태적 구조적) 감상법,학적 감상법, 감각적 감상법, 매직아이식 감상법 등.

생태적 구조적 감상법

  • 산림을 순수한 생태학적 관점에서 분석, 감상하는 방법
  • 임상의 종류, 천이상태, 숲의 구조 등을 파악한 후 기후, 지리적 조건과도 연계하여 파악

미학적 감상법

  • 산림을 미적 범주에 해당하는 것들과 연계하여 감상하는 방법.
  • 순정미(純情美), 우아미(優雅美), 숭고미(崇高美), 비장미(悲壯美), 골계미(滑稽美), 추(醜) 등을 발견하도록 함

감각적 감상법

  • 5감 + 제6감으로 감상하는 것

① 눈으로 감상하기 : 보는 즐거움

② 귀로 감상하기 : 바람소리, 새소리, 물소리등 든는 즐거움

③ 입으로 감상하기 : 단맛, 짠맛, 신맛, 쓴맛을 맛보는 것

④ 코로 감상하기 : 그 명칭에 따라 소나무 냄새, 더덕 냄새 등으로 표현

⑤ 피부로 감상하기 : 온도차, 질감, 압박 등

⑥ 가슴으로 감상하기(제6감) : 5감을 통해 관찰한 다음 정서적으로 감상함

매직아이식 감상법

  • 3차원으로 보는 입체 그림 속에 펼쳐진 풍경을 보는 감동
  • 입체적으로 보는 방법 : 시선을 숲 한가운데에 있는 어느 한 나무에 고정시킨 채 움직이면 고정된 나무와 숲이 입체적으로 보임
  • 자연 요소는 부정적인 감정(심리적 불안, 분노 등)을 줄여주고 긍정적인 감정(상쾌함, 즐거움, 행복감 등) 을 높여주는 효과.
  • 중산간 지역(해발300 ~ 1000m)은 병후 회복기에 있는 사람들에게 가장 좋은 환경

스트레스 해소에 미치는 효과

환경이나 인간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는 그 환경을 벗어나야 해소되는 것이기에 도시를 일탈하여 산림과 같은 자연환경을 찾는 것이 바람직.

경관이 주는 시각적 효과

특정물질(테르핀)에 의한 후각적인 반응으로 나타나는 생리적 영향

숲에서 감지할 수 있는 청각적 효과

심리적 정서적 안정과 증진에 미치는 효과

자연환경이 주의나 집중력 분산을 억제함으로써 주의 능력이 회복되고 감정을 긍정적으로 유도 정서적 안정 효과 얻음

녹시율이 높을수록 매혹감이 높고 정서를 증진. 단 경관의 질이 정서증진에 중요한 작용

산림을 구성하는 여러 인자들이 대상자의 신체에 자극을 주는 것을 ‘산림자극’

자아성취에 미치는 효과

숲이 인간에게 베푸는 편익 가운데 가장 형이상학적인 혜택은 자아실현을 성취하는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음

※ 자아실현을 성취한 사람들의 특징

자존심이 강하고• 현실적인 삶을 살며, • 성선설을 따르고• 감정을 제어할 줄 안다. • 친근한 사회생활을 영위할 수 있고, • 자신의 약점을 겸허히 수용할 수 있으며 자율적인 사람들

업무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산림경관이 집중력과 주의력을 향상시키면서 인지능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고 실험 결과 업무 수행능력도 높인다는 결과가 있다.

질병치료에 미치는 효과

중산간 지역은 중병후 요양 중인 사람, 수술 후의 회복기 환자를 비롯한 요양인들 에게 효과가 있음

산림은 우울증 환자 및 고혈압 환자에게서도 효과

치유에 영향을 주는 경관 구성 인자

일반적으로 치유에 영향을 미치는 산림경관 구성인자들은 식물, 빛, 물, 수형, 임관, 임상, 소리, 영적 분위기 등

2 산림경관의 평가와 선호도

2. 1 산림경관의 평가 주요 용어(측정 평가 인자)

    1. 1 녹시율

일정 면적 안에 보이는 녹색이 차지하는 비율. 어느 지점에 서 있는 관찰자의 눈에 보이는 視界안에 있는 나무 등 식물의 잎이 차지하는 비율

※ 측정방법 : 50mm표준렌즈로 1.5m 시준높이에서 촬영하여 사진에 담긴 식물면적을 계산

    1. 2 선호도

복수의 경관 사진이나 조사지 중에서 선호하는 경관을 선택하게 하고 그 이유를 파악하는 방법

    1. 3 쾌적성

특정한 장소나 기후의 매력성이나 바람직한 상황을 지칭하는 말로 유쾌성, 매력성이라고도 표현. 어메니티(amenity)라 말하기도 함

산림경관을 구성하는 여러 가지 인자들이 쾌적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함

      1. 아름다움

우선 보기에 좋고, 오감에 즐거움과 감동을 주는 멋스러운 것

미의 유형에는 순정미, 우아미, 승고미, 비장미, 희극미(골계미), 추(醜) 등

    1. 5 민감도

특정 대상에 대해서 변수에 따라 반응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

(관찰위치나 거리를 달리했을 때 관찰자가 반응하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결과에 따라 탐방로의 배치나 프로그램의 진행 장소를 조정.

2. 2 산림경관 선호도

    1. 1 연구사례1

① 조망 및 전망 : 풍경 전체를 볼 수 있는 것을 더 선호

② 영급(齡級) : 영급이 고루 섞인 침엽수림을 선호. 이령림의 고저와 강약을 선호

③ 임상 : 자연 상태의 침엽수림, 약간 인공이 가미된 산림을 선호

④ 밝기 : 어두운 산림 경관을 가진 활엽수림을 선호

⑤ 하층식생 : 하층식생이 있는 자연 상태의 고령급 인공림을 선호

⑥ 숲길 : 나무로 울폐된 아늑한 분위기를 선호

⑦ 숲과 물 : 계곡, 호수 등 물과 숲이 어우러진 수림(樹林)을 선호

    1. 2 연구사례2 (경관 사진의 선호도 조사)

① 임상 : 침엽수림, 활엽수림, 침활혼효림 순

② 선호수종 : 침엽수 - 전나무, 소나무 순, 활엽수 - 자작나무, 참나무 순

③ 인공림보다 천연림 선호, 숲 가꾸기 한 숲,

④ 상.중.하층 임관이 조화로운 숲,

⑤ 잔디밭이 있는 숲,

⑥ 물과 어우러진 숲,

⑦ 개방된 산책로,

⑧ 근경조망이 확보된 숲,

⑨ 가지치기는 역 황금비율(0.618 : 0.382) 형태를 선호

산림경관 활용 방안

1 산림경관의 유형별 활용방안

1. 1 파노라믹 경관

****전체경관을 조망할 수 가슴이 후련해지고 경쾌하게 되어 닫힌 마음을 열리게 한다.

1. 2 지형경관

산악지형의 웅장함과 자연역사를 반추하게 하여→자신을 뒤돌아 봄

1. 3 위요경관

숲 속의 옹달샘, 수목으로 둘러싸인 작은 풀밭 등. 사색과 명상의 최적의 장소

1. 4 초점경관

특정 경관으로 시선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어 마음을 집중할 수 있는 역할

1. 5 천개경관

하늘이 수목으로 덮혀 있기에 사색과 명상을 하면서 걷기

1. 6 세부경관

상세하게 관찰할 수 있는 경관 으로 집중과 몰입으로 현재의 나를 잊고 새로운 나를 발견하는 역할, 자아발

1. 7 일시경관

일시적으로 하늘이나 호수에 생기는 경관이며. 관찰과 감상의 대상으로 사색과 명상의 장소로 활용

1. 8 기타

****경관 언어를 찾아내어 스토리텔링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방안 필요

경관이 지닌 영적특성을 발굴 한다. 치유의 마지막 단계는 영적 단계로 유도

치유의 숲 경관 관리 방안 (P307)

1 기본원칙

1. 1 목적과 목표

1. 1. 1 기본전제

“산림경관 관리 기본계획”의 원칙을 따르되 사례별로는 “산림자원관리 표준매뉴얼”을 따름.

치유의 숲은 휴양생산이 주목적이고 목재생산은 부수적인 목적

심신의 건강을 유지하려는 방문객에게 숲의 보건효과를 극대화시켜야 함

1. 1. 3 3대 관리목표

① 요양물질(테르펜 등)이 풍부하게② 아름답게③ 휴먼스케일(Human scale)에 알맞게 관리

2. 차유의 숲 경관관리 세부사항

2. 1 숲 가꾸기 방법

2. 1. 1 요양물질이 풍부하게 : 테르펜 발산량을 풍부하게 하는 방법

밀도조절, 가치치기, 수고조절, 수관조절 등을 통해 성장을 촉진시켜 테르펜의 발산을 극대화시키고 산림경관의 시각적 질을 유지하도록

① 가지치기 : 자연수형을 이루도록 하되 역황금비율(6:4)로 가지치기 높이를 유지

② 임목밀도 조절

㉮ 경관선호도와 테르펜의 발산량을 최고조로 유지할 수 있도록 밀도 조절

㉯ 작업방법 : 치유의 숲 솎아베기는 정량 간벌법을 적용

    1. 2 휴먼스케일(Human scale)에 알맞은 잣나무 가치치기

휴양객의 후각기관의 높이와 대체로 일치하도록 고려(성인기준 대략 150~160cm)

인간의 신체구조와 생리적인 활동 특성을 감안.

(보행자 공간상의 나무의 위치, 가지의 높이, 하층식생 관리등

※ 휴먼스케일 : 인간의 행태와 감각에 맞는 공간 및 도량형의 스케일로 인간회복을 환기시키려는 의미이다.

    1. 3 숲을 아름답게 가꾸기 (P309)
  1. 자연의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 있도록 시각의 질을 높여 심미 의식고취와 심신의 안정을 찾는데 도움 되도록

  2. 실천계획

잣나무림은 엄숙, 장엄, 정연성, 고전적 분위기 강조하며 약간의 활엽수를 파격 존치하여 “조화와 강조”가 인지되도록 함

숲의 구조 : 상층, 중층, 하층이 조화롭게 유지 되도록 관리

임내구조 : 개방적이면 → 아늑한 분위기 해침 + 심리적 산만

폐쇄적이면 → 어둡고 답답 + 심리적 불안

    1. 4 임내 숲 가꾸기 (P310)
  1. 시점장(視點場) 주변의 숲 가꾸기

시점장이란 주요 조망 대상지를 바라보는 장소

주변의 시야를 확보하는 숲 가꾸기 필요

  1. 임업 체험장 준비

숲 가꾸기를 실제 체험해 할 수 있도록 하는 숲 가꾸기 대상지 일정면적 확보.

  1. 숲길 주변 관리기법

숲길 가장자리는 임내투시도가 방해받지 않는 한 자연스럽게 처리

→ 안정감과 아늑한 느낌

① 침엽수

동선 등 가장자리 벤치 등 휴게시설 주변은 휴먼스케일에 맞춤

가장자리 주변 교목은 가지치기 피하고 죽은 가지만 잘라 숲안이 보이도록

② 관목처리

산책로 주변의 관목은 존치하여 자연스러움 유지

총생 유도로 量感을 주도록

동선 가장자리 관목이 통행에 불편 줄 때 완전제거 하지 말고 밑둥치 중간부에서 가지를 잘라 밀도 조절

③ 가장자리 임상의 층상구조

가장자리가 침활엽수 교목과 관목이 섞여있을 경우 안으로 들어 갈수록

지피식물→ 관목→소교목 + 대교목순서로 배열되게

가장자리가 개방적인 경우 산만, 부자연스럽고 아늑한 분위기를 해침

개방적이고 산만한 구간은 국수나무 등 관목으로 보식 조치

  1. 기타

산책로 주변 비탈면의 개체목을 자를 때에는 자른 단면이 길에서 보이지 않게 절단면이 시야의 반대쪽으로 기울어지도록 절단

고사목은 절단하여 뉘어 놓음

1. 2 해외 사례

    1. 1 포레스트 스케이프의 구성요소인 스케일(scale) 확대

인공림의 경우 인공림 어메니티 최대 요소인 ‘장대함’을 증폭하도록 유도

    1. 2 인공림의 자연성 증진

인공림 내의 하층식생을 풍요롭게 하여 임내 풍경의 다양성을 증가시킴으로써 높은 어메니티(amenity) 확보

    1. 3 산림공간의 청각적인 이용 극대화

숲의 경관과 향기, 바람소리 등은 감성을 높이고 예술체험을 다채롭게 함

인공림의 경우 삼나무, 너도밤나무, 자작나무와 졸참나무 등의 활엽수림이 적합

    1. 4 랜드 마크(landmark)

폭포, 호수 등 랜드 마크의 효과를 충분히 하기 위해 시야를 확보해주는 조치가 필요

    1. 5 전망대, 나무다리, 스카이워크(skywalk)- 좋은 조망점을 확보
    1. 6 적정 수목 밀도 유지

숲의 울폐도감은 10m 앞의 물체가 60% 정도 보이는 임분

→개방감이 높아져 쾌적성 향상

도시근교림은 950 ~1300본/ ha, 흉고단면적 합계는 27 ~35㎥ 정도다

평균 직경 50㎝ 인 경우 137 ~ 178 본/ ha에 해당

    1. 7 산림공간 정비를 위한 숲 가꾸기

적정한 조도를 유지하기 위한 제벌. 간벌

→ 다양한 산림공간 체험 할 수 있도록 밝은장소, 서늘한장소, 트인장소 등

시각효과를 높이기 위한 간벌 등

→ 평균 직경이 20~30cm 정도의 숲이라면 1ha 당 700~800 본 정도가 적당

쾌적성을 높이기 위한 하층식생의 잡초제거 등 : 하층식생관리도 중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조직운영

단기소득 임산물

카운셀링(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