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치료(3)
심리치료(3)
인간 중심적 심리치료
주창자 및 대표자 : Rogers, Maslow, May 등
특징- 긍정적 인간관 : 인간은 자기실현을 하려는 존재. 잠재력 보유- 현상학적인 입장 : 의식적 경험 중심, 개인의 주관적 세계 확인- 정신병리의 발달과정
자기는 개인의 경험세계로부터 분화됨.
긍정적 존중의 욕구와 유기체적 가치화 과정으로 인해 가치의 조건화가 습득되며 이것이 정신적 병리의 뿌리가 됨.
자기와 경험의 불일치가 발생하여 자기구조에 통합되지 못한 것이 정신적 병리
치료
치료의 의미 : 유기체가 중요한 경험의 자각을 부정하거나 왜곡할 때 부적응이 일어나므로, 이를 자각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돕기
심리치료의 핵심은 자기와 자기의 경험을 일치시키는 것이며, 이를 위해 상담자가 일치성, 무조건적 수용, 공감적 이해, 즉시적 체험다루기 등의 치료과정과 태도를 바탕으로 치료가 가능해짐
평가 :
치료적 관계형성과 관계의 힘에 대한 이해가 가능해짐
구체적 문제를 다루는 핵심기법의 부재, 치료의 장기화. 인간본성 낙관
인지치료
주창자 및 대표자 : A. Beck
특징- REBT와 더불어 정신장애를 유발하는 인지적 요인을 정교화- 우울증에 대한 원인과 치료방법 개발과정에서 등장함- 단기치료 가능, 실증적 연구를 통한 심리치료의 과학화에 기여- 자동적 사고, 인지왜곡, 도식 등의 개념을 통해 부적응적 인지도식이 우울증 및 주요 정신병리를 유발함을 설명함- 내담자와의 협력적 관계를 중시 : 협동적 경험주의- 인지적 오류 : 흑백논리, 과잉일반화, 선택적 추상화, 개인화 등- 핵심신념(도식)->중간신념->자동적 사고의 영향력을 설명- 인지삼재 : 자신, 세계, 미래에 대한 인지적 왜곡
치료- 인지적 모델에 근거한 사례개념화 - 협동적 경험주의 및 과제부여- 소크라테스식 대화 및 인도된 발견
평가 : 인지의 중요성 부각, 행동치료와 결합하여 단기치료에 적합. 인지교정에 집착하며 감정을 경시. 적용대상에 한계를 보임
행동치료
주창자 및 대표자 : Skinner, Watson, Wolpe, Bandura 등
특징- 엄격한 과학정신에 근거하며, 관찰과 측정이 가능한 인간의 외현적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실증적 연구를 통해 부적응 행동을 분석,교정- Black Box 이론 : 환경적 자극->유기체의 반응에 관심- 부적응적 행동을 학습의 결과로 간주함 : 부적응행동은 고전적, 조작 적 조건형성, 모델링 등의 기제를 통해 학습된 것! - 단기치료. 과거보다 현재의 문제행동 해결에 관심. 치료결과 측정- 심리적 부적응을 관찰, 측정가능한 문제행동으로 규정하고 이를 유 발하는 자극, 상황적 요인 및 반응(대처) 방식에 초점을 맞춤
치료- 부적응적 문제행동을 제거하거나 긍정적 행동을 학습하여 적응 도모- 문제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적응행동을 학습시키는 것이 치료- 행동조성법, 체계적 둔감법, 모델링, 생활기술 훈련 등의 기법 사용
평가- 심리치료에 대한 과학적, 체계적 접근, 연구강조 / 치료의 영향과 범 위가 제한적, 원인을 제거하지 않는 피상적 치료, 치료적 관계의 경시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