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운셀링 (3)

 

해결중심 상담 1980밀워키  스티브 세이져, 인수

‣ 문제해결에서 해결(solution)에 초점

‣ 해결중심 단기치료는 문제에서 예외와 내담자 개인이 개념화한 해결책에 초점

개인의 강점과 탄력성에 초점.(긍정마인드와 공통점)

‣ 내담자가 과거에 했던 도움이 되는 행동을 더 많이 하도록 격려

1) 주요개념

인간관 (해결중심 상담이론)

㉮ 인간은 자원이 있고, 유능하며, 자기 삶의 방향을 바꿀 수 있는 해결책을 구성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낙관주의 가정에 근거

㉯ 상담자는 내담자가 가지고 있는 탄력성, 용기, 창의력과 같은 자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돕는 것

㉰ 상담자는 잘 되어 가는 것은 무엇인지, 미래 가능성, 무엇이 성취감을 느끼게 할지에 대한 내담자와의 대화에 참여

㉱ 내담자의 강점 그리고 다른 상황에서 성공적으로 기능하는 해결과 같은 이미 존재하는 긍정적인 측면에 근거

㉲ 부족, 약함, 문제에 머물러 있기보다 무엇이 좋은지 그리고 도움이 되는지에 초점을 맞춘 긍정심리학과 공통점

문제가 아니라 해결책에 초점 맞추기 (해결중심 상담이론)

㉮ 해결중심 상담 이론은 과거를 피하고 현재와 미래를 선호한다는 점에서 전통적 사상과 다름

㉯ 과거는 호소하는 문제가 자주 일어나지 않았던 시기를 확인할 때만 고려되고, /미래 해결에 초점

㉰ 드 세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그 원인을 알아야 하는 것은 아니며 문제와 해결책 사이에 꼭 필연관계가 있는 것도 아니라고 하였음

㉱ 문제를 알고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지 않으며 적절한 해결책을 추구하는 것이 중요

㉲ 해결중심 상담 이론은 진단, 개인사 탐색, 역기능적인 상호 작용 분석 그리고 문제 탐색에는 주의를 기울이지 않음

효과적인 것을 찾기 (해결중심 상담이론)

㉮ 상담자는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 패턴의 예외상황과 성공한 일화에 초점

㉯ 사람들이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것을 찾아내는 것을 강조하고 그 지식을 가능한 문제를 제거하는데 적용하는 것을 도움.

㉰ 내담자에게 잘 적용되는 방법을 확인하고, 그 패턴을 반복하도록 격려

㉱ 주요 개념은 ‘무엇이 효과적인지 알면, 그것을 더 많이 하라' 이다. 어떤 것이 효과적이지 않으면 내담자는 다르게 하도록 격려

2) 상담목표 및 기법

  • 상담 기법 : 상담 전의 변화 확인, 예외질문, 기적질문, 척도질문

■ 상담 목표 (해결중심 상담이론)

㉮ 해결중심 상담은 내담자의 문제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듣는 대신

해결책에 대한 풍부한 묘사를 이끌어 냄

㉯ 내담자와 상담자가 함께 해결책을 구성하면서 새로운 결말을 가진 다른 이야기를 쓰도록 격려

㉰ 상담자는 문제 상태에서 창의적인 해결책으로 이끄는

새로운 가능성을 가진 세계로 내담자를 전환하는 것을 돕는 도구

해결중심 상담의 상담기법 (상담전의 변화,n예외질문, 기적질문, 척도질문)

① 상담 전의 변화 확인

‣ 약속을 잡고 만나기 전 이미 일어난 긍정적 변화를 다룸으로써 내담자 자원을 확인 함. 목표로 하는 변화가 상담자에 의해서가 아니라 내담자의 자원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격려

② 예외질문

‣ 문제가 일어나지 않았을 때 혹은 덜 심하게 일어났던 시기를 물음

‣ 문제가 아주 강력한 것은 아니며 영원히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일깨움.

‣ 내담자가 스스로 과거에 성공했던 경험가운데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음.

③ 기적질문

‣ ‘만약 기적이 일어난다면, 그리고 문제가 하룻밤 사이에 사라진다면, 문제가 사라졌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으며, 무엇이 다릅니까?’

‣ 이 질문을 통해 변화에 대한 믿음을 근거로 해결책을 찾아볼 수 있음.

④ 척도질문

‣ 감정, 기분 혹은 의사소통과 같이 쉽게 관찰하기 어려운 인간의 경험상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0부터 10까지 척도로 표현 하도록함.

‣ “0에서 10까지의 척도가 있고, 0이 상담을 시작했들 때라 하고, 10을 모든 문제가 사라진 후의 기분이라고 할 때 지금 당신의 불안은 몆점입니까?”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조직운영

단기소득 임산물

카운셀링(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