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급휴양관리(3)
6. 3 이용영향과 관리
6. 3. 1 이용영향 모니터링
산림휴양활동은 숲환경에 영향하는 이용영향을 수반 한다. 이때 이용영향이라함은?
⇒ 산림휴양활동으로 인하여 토양, 식생, 야생동물, 물자원에 바람직하지 않은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6. 3. 2 이용자 관리
① 산림휴양지의 관리의 궁극적인 목적은 이용자에게 이용기회, 이용경험, 만족도 제고
② -이용자 관리형식은 이용자에게 직․간접영향을 미치는 방법으로 나눌수 있고
- 관리대상으로 이용자와 자원을 구분하여 관리하는 방식에서 접근
③ 산림휴양지 관리 전략으로는㉮ 정보의 제공과 교육 ㉯ 서비스의 전달 ㉰ 비용부과 ㉱ 부지설계 ㉲ 이용면허 ㉳ 규제 와 같은 것을 구사할 수 있다
※ 산림휴양지 관리는 “해도 된다” “하면 안된다”로 진행되고 간접적 관리서 직접적 관리로 진행된다
예) 관리도구로 “해설” 활용→ 분산이용 조장→ 부지설계를 통한 관리 → 이용제한 →최종적으로 이용 금하는 단계로 구성
※ 해설을 통한 교육 활동은 휴양경험의 질을 제고하는 수단이고 동시에 자원에 대한 간접보호 효과 도모
④ 흔적 남기지 않기(LNT, Leave No Trace) 이해와 실행 촉구
-
관리대상으로 이용자와 자원을 구분하여 관리하는 방식
‣ 관리대상으로 이용자 관련 한 것 →이용자의 안전문제
㉠안전을 저해하는 요소 사전 제거하고
㉡위험한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처리
‣ 관리대상으로 자원의 측면
㉠해당장소에 대해서 이용제한 조치
㉡ 집중이용 분산시키는 방식, 식생관리, 반달리즘에 대처 할 수 있도록 시설설비
6 3. 3 부지관리
- 이용에 따른 식생 훼손, 침식발생, 배변관리에 특히 중점둔다.
- 식생의 경우 답압에 내성이 큰수종 식재
- 침식관리 : 분산이용,멀칭처리, 포장, 일시적 폐쇄 등
※ 시설의 규모
① 치유의숲의 산림형질변경 면적(임도, 산책로, 숲체험로, 등산로 제외)은 치유의 숲 전체면적의 10% 이하
② 건축물이 차지하는 총 바닥변적 : 치유의숲 전체면적의 2 % 이하③ 건축물의 층수는 2층 이하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