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운셀링(4)
다문화 상담
1) Addressing Model
① Addressing Model
**Addressing Model 내의 문화적 영향과 관련 소수 집단의 요약**
② Addressing Model의 활용
㉮ 개인작업
㉠ 개인 문화를 확인하고 또 속하지 않은 문화를 확인 자신과 타인의 경험을 보다 잘 이해
㉡ 특권은 경험을 제한하기 때문에 상담자는 특권에 특별히 관심을 기울여야 함
㉯ 대인관계 작업
㉠ 인간 경험의 복잡성을 이해할수록 타인을 복잡한 존재로 이해할 수 있음
㉡ Addressing 모델은 상담자가 내담자의 또는 성(가족명)에 기초 일반화하지 않도록
2) 상담자의 거울 들여다보기 ( 문화적 자기 평가) P122
① 특권과 문화가 당신의 상담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자신의 유산을 조사하는 것
㉯ 문화적 문제에 대한 이해, 상담에서 특권의 영향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
㉰ 다양한 정보의 원천을 통해 스스로를 교육시키는 것
㉱ 다양한 관계와 사회문화적 문맥의 영향에 대한 이해를 발달시키는 것
② 자신의 문화적 유산을 조사하기
- Addressing을 수직으로 작성하고 각각의 범주에 자신의 항목을 기재.
③ 상담자의 가치 (P125)
㉮ 상담 이론이 지배 문화의 가치를 반영, 상담자는 편견된 가정을 하기 쉬움.
㉯ 상담자의 개인적인 신념과 생활양식은 상담과 관련된 가치에 반영
㉰ 개인주의의 강조는 다른 문화의 상호 의존, 집단 응집 그리고 조화로운 관계의 중요성과 대조되는데, 개인주의적인 가치들을 높게 평가
㉱ 자기 개방과 감정 표현은 가치롭게 여겨지고, 상담에서의 진전을 위한 중심활동으로 보여 지지만, 내담자들은 개인적인 정보를 공개하는데 조심스럽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