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운셀링(5)
용서 심리학
1) 용서
① 용서의 개념
㉮ 피해나 상처를 준 상대에게 이해나 관용으로 반응함으로써 사회적 수용과 정서적 온정을 보이며, 상대가 잘 되길 바라며 도움을 주고 화해하려는 긍정적 행동이 증가하는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현상의 복합체
㉯ 용서는 상처나 분노, 미움 등의 부정적 반응과 관련된 다양한 내담자의 효율적 문제해결을 위해 필요한 능력
㉰ 용서는 슬픔, 불안, 분노, 복수나 처벌하려는 열망을 줄여주고, 개인의 안녕을 회복시켜준다는 주장도 있음.
㉱ 인간관계의 상처를 치료하고, 자아의 성장과 발달을 가져오는 중요한 인간관계 능력임
㉲ 한국인들의 정서인 한과 화병을 치료하기 위한 적극적인 기제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음.
② 통합적 관점에서의 용서
㉮ 용서란 피해를 준 사람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과 판단을 극복하는 것으로, 상대를 자비, 동정심 사랑으로 대하려는 노력으로 인지, 정서, 행동적 반응의 복합체로 이해하였다.
㉯ 용서 이해에 내포되어 있는 요소로는
㉠ 상처받은 사람은 고통을 받게 되어 분노 등의 부정적 반응이 생김
㉡ 상처받은 사람이 분노하며 부정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도덕적 권리가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극복
㉢ 동정심과 사랑을 포함해서 상대에 대한 새로운 반응이 나타남
㉣ 피해를 준 사람에게 사랑해야 할 의무가 없다는 것을 알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사랑의 반응이 나타남.
2) 용서의 과정
- 인간은 부당한 대우를 받았을 때 상처를 받게 되며 분노를 경험
개방단계 ⇒결정단계 ⇒작업단계 ⇒심화단계
용서의 과정을 통해 자신의 부정적 정서를 치유
① 개방단계 : 처음에 부인하다 점차 가해자를 향해 분노나 증오를 보이고 수치심이나 굴욕감을 경험하며 점차 개인의 정서적 고통을 심화시킴
② 결정단계 : 피해를 준 사람에게 집착하는 것은 건강치 못하고 고통을 지속시킨다는 자각과 함께 용서 개념을 받아들이고 고통을 가져온 개인을 용서하기로 결정함
③ 작업단계 : 가해자의 내재된 인간 가치를 이해하려고 함으로써 재구조화가 시작하고 이를 통해 가해자를 공감/수용하는 것이 용서의 중심과정이 됨
④ 심화단계 : 피해자는 상처경험과 용서과정에서 의미를 발견하고 자신도 용서가 필요했던 사건을 기억하고 대인적지지, 도움에 대한 이해를 하고, 새로운 목적과 방향을 갖게 되고 심리적 건강이 향상됨
3) 용서의 결과
① 자존감
- 스스로 선하고 자비로운 사람으로 자각
- 자존감이 향상된다.
② 불안감
- 자아가 건강해져서 불안을 가져오는 무의식적 생각이나 충동을 충분히 대처하게 되어 불안이 사라짐
③ 분노
- 분노가 치유되면 관계가 회복되고 분노와 함께 나타나는 우울, 죄의식 등으로부터 자유로워짐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