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용자원

 

약용자원

한의학 산림치유의 개념

① 한의학은 ‘天人合一’ 사상과 ‘陰陽五行’ 사상을 기본 원리로 함( 자연과 인체가 하나)

② <黃帝內徑>에서도 ‘通天者 生之本’ 이라하여 자연과 소통하는 것이 생명을 지키는 근본 이라함

③ 한의학서 자연물을 치료약으로 사용하고 그 중 85% 이상이 산림의 本草다.

④ 한의학적 산림치유 원리 ?

한의학적 이론에 근거한 체질과 특징을 고려하여 그에 맞는 요소들을 결합한 치유 프로그램으로 심신을 회복시키는 것

⑤ 한의학적 산림치유란 ?

한의학의 원리와 개념을 활용하여 숲이 지니는 자원과 다양한 의학적, 문화적 요소들을 결합하여 자연이 주는 치유력을 극대화시키는 산림치유 방법

산림치유는 숲 안의 화학적 성분을 이용해 신체적, 정신적, 치유를 목적으로 하는 자연치유요법이며, 약차요법, 약용요법 등을 병행하면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음

산림 약용 자원의 본초학적인 활용

① 천연물질을 정제나 가공을 거쳐 한의학적인 이론에 의해 질병을 진단, 치료 및 예방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약물을 **한약(韓藥)**이라고 함.

② 본초(本草)란 뿌리와 풀, 즉 목본류와 초본류를 총칭하는 용어로 한약의 대부분은 식물이기 때문에 한약을 연구하는 학문을 本草學 이라

③ 현재 중국의 한약자원은 12,772종 이상인데 (식물 11,118종 +동물1,574종, 광물이 80종)

④ 기미론(氣味論) : 한약의 효능을 고유의 성질과 맛에 따라 약리작용을 분류하는 방법

‣ 사기(四氣) : 한(寒), 열(熱), 온(溫), 량(凉)과

‣ 오미(五味) : 신(辛), 감(甘) 산(酸), 함(鹹), 고(苦) 가 있다

피톤치드란

① 피톤치드는 ‘식물’이라는 뜻의 phyton과 ‘죽이다’란 뜻의 cide의 합성어로서 타감작용을 하며, 휘발성 향기물질이란 뜻

② 피톤치드의 다른 말로 NVOC가 사용. VOC(휘발성유기화합물)에는 AVOC(인위적 휘발성 유기 화합물)과 NVOC(자연적 휘발성 유기화합물)

③ 수목의 정유는독특한 향기가있고 공기 중에 휘산 되는데, 이런 물질이 NVOC 이며 주요 NVOC는 이소프렌과 테르펜이 있다.

④ NVOC의 배출량은 수목의 종의 따라 다르며 다양한 성분을 배출, 각 성분에 따라 다른 효능을 가지고 있음

⑤ NVOC 배출량의 외적 조건에 따라 달라지고 빛과 온도에 의해서 배출속도가 다름

他感作用 ( allelopathy)

① 대사물질의 분비에 의한 식물 상호간 또는 식물과 토양미생물간의 생화학적 억제작용

② 하나의 생물이 다른 종의 생물에게 영향을 주는 현상.

어떤 식물에서 생성되는 화학물질이 다른 식물의 종자 발아나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

③ 사과의 에틸렌 생산이 종자의 발아를 저해하거나 덜 익은 열매를 익도록 촉진하는 작용

④ 샐비어속, 쑥 속의 식물이 테르펜류를 생산, 다른 식물의 생육을 저해하는 작용이 예이며 나무에서는 흑호도의 경우가 보고되어 있음

⑤ 고등식물의 테르펜류를 주체로 하는 피톤치드가 미생물이나 원생동물에게 저해적 작용을 하는 것도 같은 예

피톤치드의 배출 특성

6. 1. 연중 배출특성

  • 3월과 6월에 가장높았음

6 .2. 일중 배출특성(7월중 소나무림 조사)

  • 주로일출(5~6시) 〉남중(12~13시) 〉일몰(19~20시) 시간대에 높았으며, 대부분 물질이 20~21시에서 가장 높았음
  • 알파피넨과 베타피넨이 타 물질보다 최고 62배까지 농도 높았고 변화폭이 컸음

6.3. 피톤치드와 물리 환경과의 관계

  • 습도, 이슬점, 온도가높아질수록 피톤치드 농도 증가
  • 풍속이높아질수록 피톤치드 농도 낮아짐
  • 습도, 이슬점, 온도, 풍속이피톤치드 농도와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남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조직운영

단기소득 임산물

카운셀링(1)